카테고리 없음

동의보감으로 살펴본 안구건조증 원인과 치료방법

arcosseoul 2024. 11. 29. 23:02

《동의보감》에서는 안구건조증과 유사한 증상을 **목건증(目乾症)**이나 **목병(目病)**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. 이는 눈이 마르고 불편하며, 시력이 저하되거나 자극을 느끼는 증상으로 나타납니다. 《동의보감》은 안구건조증을 주로 **간(肝)**과 **신(腎)**의 건강 상태와 관련지어 설명하며, 원인과 치료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.


---

안구건조증의 원인 (目乾症의 病因)

1. 간혈 부족 (肝血不足)

간은 눈을 주관하며, 간의 혈이 부족하면 눈이 건조하고 뻑뻑해짐.

원인: 과도한 눈 사용(장시간 독서, 화면 보기), 영양 부족, 만성 피로.

증상: 눈의 건조함, 가려움, 피로감, 흐릿한 시야.



2. 음허화왕 (陰虛火旺)

체내 음(陰)이 부족해 열이 올라가 눈을 마르게 만듦.

원인: 스트레스, 불면증, 과로.

증상: 눈의 열감, 붉은 충혈, 건조함, 이물감.



3. 신정 부족 (腎精不足)

신장의 정(精)이 부족하여 눈으로 공급되는 영양이 부족.

원인: 노화, 과도한 성생활, 만성질환.

증상: 눈의 흐릿함, 건조, 시력 감퇴.



4. 풍열 침범 (風熱侵襲)

외부의 바람과 열이 눈에 영향을 미쳐 눈물이 마르고 건조해짐.

원인: 건조한 환경, 먼지, 자외선.

증상: 눈의 건조함, 충혈, 눈 주위 따가움.



5. 비허습성 (脾虛濕盛)

소화 기능이 약해지고 습기가 차 눈으로 가는 영양 공급이 부족해짐.

원인: 소화기 약화, 불균형한 식사.

증상: 눈이 무겁고 흐릿하며 피곤함.





---

치료 방법 (治療法)

1. 간혈 부족 치료

치료법: **보간양혈(補肝養血)**로 간의 혈을 보충하고 눈을 윤택하게 함.

처방: 당귀(當歸), 백작약(白芍藥), 구기자(枸杞子), 숙지황(熟地黃).

음식: 당근, 블루베리, 녹색 잎채소, 검은깨.


2. 음허화왕 치료

치료법: **자음강화(滋陰降火)**로 체내 열을 내려주고 음을 보충.

처방: 생지황(生地黃), 맥문동(麥門冬), 천문동(天門冬), 황정(黃精).

음식: 배, 오이, 연근, 흑미.


3. 신정 부족 치료

치료법: **보신익정(補腎益精)**으로 신장의 정을 강화.

처방: 산약(山藥), 두충(杜仲), 숙지황(熟地黃), 복령(茯苓).

음식: 검은콩, 호두, 땅콩, 잣.


4. 풍열 침범 치료

치료법: **청열산풍(清熱散風)**으로 외부 열과 바람을 제거.

처방: 황련(黃連), 치자(梔子), 국화(菊花), 박하(薄荷).

음식: 녹차, 국화차, 오이, 수박.


5. 비허습성 치료

치료법: **건비화습(健脾化濕)**으로 소화 기능을 강화하고 습기를 제거.

처방: 백출(白朮), 산약(山藥), 의이인(薏苡仁), 복령(茯苓).

음식: 찹쌀, 연근, 팥, 고구마.



---

생활 관리법

1. 눈 보호하기

장시간 화면 사용을 피하고 20분마다 휴식하기.

적절한 조명에서 작업하고, 눈이 건조할 때 인공눈물 사용.



2. 환경 개선

실내 습도를 유지하고 건조한 바람이나 먼지를 피함.

자외선 차단을 위해 선글라스 착용.



3. 영양 관리

비타민 A, C, E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.

오메가-3 지방산이 함유된 생선, 견과류를 섭취.



4. 정신적 안정

스트레스를 줄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기.

명상, 심호흡으로 정신적 피로 해소.



5. 운동

눈 운동(멀리 보기, 눈 돌리기)을 통해 피로 완화.

전신 혈액 순환을 돕는 가벼운 스트레칭.





---

안구건조증은 생활습관과 환경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, 원인을 파악하고 체질에 맞는 관리와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필요 시 한의학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에 맞는 처방을 받아보세요.